IP

알맹이 없는 ‘오징어 게임’ 만든 넷플릭스, 슈퍼IP 활용 실패

알맹이 없는 ‘오징어 게임’ 만든 넷플릭스, 슈퍼IP 활용 실패

넷플릭스의 새로운 리얼리티 프로그램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이하 더 챌린지)가 가차 없는 혹평을 받고 있다. 영화정보 사이트 IMDB의 시청자 평점은 10점 만점에 4.6점(27일 기준)까지 미끄러졌다. 원작의 메시지와 특유의 ‘스릴’을 살리지 못했다는 평가다. 출연진은 촬영 과정에서 부상을 입거나 비인격적인 대우를 받았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나섰다.

자체 IP 활용에 힘 쏟는 디즈니, 콜라보·이벤트로 마케팅 강화

자체 IP 활용에 힘 쏟는 디즈니, 콜라보·이벤트로 마케팅 강화

월트디즈니의 ‘IP(지식재산권) 수익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디즈니는 이탈리아 스쿠터 브랜드 베스파와 협업해 베스파 디즈니 ‘미키 마우스’ 에디션을 12월 국내 출시하는 한편, 테마파크 사업 홍보를 위해 현대백화점과 경품 이벤트를 진행한다. 자체 IP 활용 및 수익화를 위한 ‘마케팅’에 꾸준히 힘을 싣는 양상이다.

K콘텐츠 수출은 무조건 넷플릭스? 국내 시장 ‘넷플릭스 의존’ 우려 가중

K콘텐츠 수출은 무조건 넷플릭스? 국내 시장 ‘넷플릭스 의존’ 우려 가중

‘사극 전문 배우’ 최수종이 10년 만에 주연으로 복귀한 KBS 대하드라마 이 내일 KBS2와 넷플릭스에서 첫방송된다. 지상파 대하 정통 사극이 글로벌 OTT 플랫폼에서 동시 방영되는 이례적인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넷플릭스는 대만, 홍콩 등 일부 아시아 국가에도 ‘고려거란전쟁’을 제공할 예정이다.

혹한기 버티는 비결은 ‘IP’다? 쪼그라든 게임 업계, 각 기업 실적 ‘희비교차’

혹한기 버티는 비결은 ‘IP’다? 쪼그라든 게임 업계, 각 기업 실적 ‘희비교차’

국내 주요 게임사가 줄줄이 ‘혹한기’를 맞이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저조한 게임 이용률 등 대내외 악재가 쌓이면서다. 탄탄한 인기 IP(지식재산권)를 보유한 일부 기업이 혹한기 속 ‘봄바람’을 맞이한 가운데, 여타 기업들은 신작 IP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며 ‘재기’의 기회를 노리고 있다.

韓 산업 재편의 중심, 게임 ② 정부와 업계의 ‘원죄’, 말라가는 게임 IP

韓 산업 재편의 중심, 게임 ② 정부와 업계의 ‘원죄’, 말라가는 게임 IP

우리나라의 게임 산업은 이미 연간 매출 20조원을 돌파했다. 이미 ‘변화’는 시작됐다. K-게임은 우리나라 산업 재편의 중심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여전히 ‘오락가락’하는 모습만 보인다. 이런 가운데 게임사의 ‘일탈행위’는 IP 활용성 저해를 조장하고 있다. 정부가 방향타를 제대로 잡아야 할 시점이다.

韓 웹툰으로 日 영화를? 아마존프라임이 보여주는 토종 IP의 ‘가능성’

韓 웹툰으로 日 영화를? 아마존프라임이 보여주는 토종 IP의 ‘가능성’

오는 2일 카카오페이지의 동명 인기 웹툰을 영상화한 작품 이 2일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를 통해 전 세계 약 240개국에서 동시 공개된다. 은 K-웹툰 IP를 활용한 작품에 일본인 배우가 출연하는 글로벌 제작 사례로, 국내 원천 IP 시장의 또 다른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북미 웹툰 시장 ‘개척자’ 네이버웹툰, 원천 IP 열풍에 美 IPO 박차

북미 웹툰 시장 ‘개척자’ 네이버웹툰, 원천 IP 열풍에 美 IPO 박차

네이버웹툰의 미국 IPO(기업공개) 청사진이 명확해지고 있다. 콘텐츠 시장 ‘원천 IP’ 붐으로 실적이 빠르게 개선되는 가운데, 기존 계획을 앞당겨 내년 중에 구체적인 IPO 절차를 공식화하겠다는 구상이다. 과연 네이버웹툰은 강력한 자체 IP를 발판 삼아 네이버 계열사 가운데 유일한 상장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카카오웹툰 ‘아쿠아맨’ 日서 드라마화 결정, 세계로 뻗어나가는 韓 ‘원천 IP’

카카오웹툰 ‘아쿠아맨’ 日서 드라마화 결정, 세계로 뻗어나가는 韓 ‘원천 IP’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웹툰 을 후지TV와 일본 현지 드라마로 공동 제작한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일본 최대의 민영 방송사 후지TV는 지난 26일 일본 현지서 열린 ‘2023 후지TV 글로벌 사업 전략 발표회’에서 웹툰 IP(지식재산권) 개발 및 확장에 대한 업무 협약을 체결, 이같이 밝혔다.

‘넷플릭스 하우스’로 오프라인 사업 진출 나선 넷플릭스

‘넷플릭스 하우스’로 오프라인 사업 진출 나선 넷플릭스

넷플릭스가 2025년까지 첫 번째 상설 소매점을 오픈할 계획을 밝혔다. 조쉬 사이먼 넷플릭스 소비자 제품 책임자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두 개의 ‘넷플릭스 하우스’가 준비 중이며 다른 곳도 추가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순수 디지털 기업이었던 넷플릭스가 이제 오프라인 영역으로 본격 진출한다.

[IP전략] 글로벌 시장 휩쓰는 국내 IP, 이제 ‘돈 벌 방법’ 궁리할 때

[IP전략] 글로벌 시장 휩쓰는 국내 IP, 이제 ‘돈 벌 방법’ 궁리할 때

국내 콘텐츠 시장의 지식재산권(IP) 확장 전략에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검증된 웹툰 IP를 활용한 OTT 오리지널 시리즈들이 족족 글로벌 대흥행을 거두면서다. 실제 △디즈니+ △넷플릭스 △tvN 등 최근 국내 콘텐츠 시장을 뒤흔든 ‘대박 작품’ 대다수는 웹툰 IP에 근간을 두고 있다.

‘IP 확보·수출 지원’ 문화계정 규모 1,000억원 확대, 지원으로 콘텐츠 ‘찍어내면’ 끝일까

‘IP 확보·수출 지원’ 문화계정 규모 1,000억원 확대, 지원으로 콘텐츠 ‘찍어내면’ 끝일까

내년도 정부 ‘K-콘텐츠 펀드(모태펀드 문화계정)’ 예산이 1,000억원 확대됐다. K-콘텐츠 펀드는 내년도 예산을 콘텐츠 IP 및 수출 콘텐츠 확보에 사용할 예정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콘텐츠를 ‘확보’하는 것에서 만족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IPO 재도전 성공한 밀리의 서재, 이제 ‘IPO’ 아닌 ‘IP’에 집중할 때

IPO 재도전 성공한 밀리의 서재, 이제 ‘IPO’ 아닌 ‘IP’에 집중할 때

오는 27일 도서 지적재산(IP) 기반의 콘텐츠 정기 구독 서비스 ‘밀리의 서재(이하 밀리)’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지난해 이미 한 차례 공모 실패의 쓴맛을 본 가운데, 몸값을 낮추는 등 시장 친화적인 공모 전략을 내세우며 IPO 흥행에 성공한 것이다. 최종 공모가는 희망 밴드 상단인 2만3,000원이다.

게임 기반 웹툰 부진 못 면하는데, 게임 업계가 포기 못 하는 이유는?

게임 기반 웹툰 부진 못 면하는데, 게임 업계가 포기 못 하는 이유는?

유저들의 몰입감을 높이고 중장기적으로 게임이 흥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는 인식 아래 게임업계가 트랜스미디어 전략을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다. 자사 게임 IP(지식재산권)를 통해 웹툰 등을 제작해 게임 유저들이 웹툰을 보고, 또 웹툰을 본 독자들이 다시 게임으로 유입되는 선순환 과정을 노린 전략이다. 게임 웹툰·웹소설에서 별점 테러가 발생하는 등 다소 반응이 좋지 못함에도 게임 업계는…

[콘텐츠IP] 디즈니의 추락 ① 힘을 잃어가는 ‘디즈니 매직’

[콘텐츠IP] 디즈니의 추락 ① 힘을 잃어가는 ‘디즈니 매직’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대기업 디즈니가 올해 10월 100주년을 맞는다. 그야말로 엔터 기업의 살아있는 역사다. 하지만 2023년 현재, 디즈니는 전례 없는 위기를 겪고 있다. 실사 영화 <인어공주>의 흥행 참패와 스트리밍 플랫폼 디즈니+ 의 더딘 성장, 시청자들의 콘텐츠 소비 패턴 변화로 인해 주 사업 모델이 흔들리고 있는 데다, 정치적인 논란에까지 휩싸인 상황이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오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