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관광객 발길 끊긴 ‘중국’, 코로나19 이전의 30% 수준에 그쳐

관광·여행의 ‘탈중국화’는 전 세계적인 현상 한편 유커 귀환 기대감에 국내 중국 관련 소비주 ‘급등’ 다만 내수 침체 장기화 우려에 유커 구매력 크게 떨어질 가능성 높아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80km 떨어져 있는 만리장성의 모습/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객의 수가 팬데믹 전보다 급감했다. 미·중 패권 전쟁에 따른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확산, 비즈니스 신뢰 상실 등이 악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지난달 10일 중국 정부가 한국행 단체여행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중국 관련 소비주가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일각에선 중국의 내수 침체 장기화가 예상된다는 지적과 함께 관련한 주가 상승이 지속되기 어려울 거란 분석도 나온다.

미·중 갈등, 구금, 신냉전 리스크등이 촉발한 중국 관광 기피 현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올 1분기 중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5만2,000명으로 2019년 1분기보다(370만 명) 97% 가까이 급감했다. 특히 이런 추세는 중국의 대표 도시 베이징과 상하이에도 나타났다. 올 상반기 두 도시를 찾은 외국인은 2019년의 25% 수준에 그쳤다.

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도 올해 상반기 중국을 방문한 외국 여행객이 844만 명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3,100만 명)의 27.2%에 그치는 수준이다.

국내에서도 중국 여행이 크게 줄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15세 이상 1만2,900명을 상대로 실시한 해외여행 방문지 조사에 따르면 올 1분기 ‘중국을 여행했다’는 응답 비율은 0.3%에 그쳤다. 반면 2019년 1분기에 실시된 같은 조사에서 ‘중국을 여행했다’는 응답 비율은 12.1%였다.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의 외국기업 통제, 강화된 반간첩법 시행 등에 따라 외국인들이 중국 관광을 부담스러워한다고 진단했다. 특히 지정학적 갈등 속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이미지가 나빠지고 비즈니스 신뢰도가 약해진 점도 여행자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실제로 미국 국무부는 지난 7월 반간첩법 개정안 시행에 맞춰 자국민들을 대상으로 “중국에서 자의적 법 집행에 따른 출국 금지나 부당한 구금의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6년여 만에 허가 떨어진 한국행 단체여행’, 국내 관광산업 기대감↑

중국 정부는 지난달 10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이후 6년 5개월 만에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을 허용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축소됐던 중국 노선이 확대됨에 따라 한국을 찾는 중국인 여행객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문체부에 따르면 지난 7월 월별 방한 외래관광객 수 1위(22만4,000명)에 중국이 올라섰다. 지난 8월에도 꾸준히 증가하자 정부는 올해 중국인 관광객 수가 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정부의 발표와 동시에 여행과 면세점, 카지노, 화장품 등 관련 업종의 주가도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먼저 화장품 대표주인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이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의 한국행 단체여행 허가 소식이 발표되기 전보다 8.7% 상승한 47만8,000원까지 치솟았고, 아모레퍼시픽도 9.83% 오른 13만3,000원을 기록 중이다. 여행·호텔·레저 관련주에도 매수세가 몰리면서 같은 기간 하나투어와 파라다이스도 각각 2.87%, 17.51% 상승했다.

또 유커의 귀환에 따른 매출 회복 기대감에 면세점 관련주도 상승 중이다. 롯데관광개발과 토니모리가 각각 49.56%, 24.63% 올랐고, 현대백화점과 호텔신라가 각각 24.07%, 19.06% 상승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경제 잠재력 한풀 꺾인 중국, ‘부동산 부실 리스크등 침체 요소 다분

다만 일각에선 유커 귀환에 따른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의 경제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 줄지어 해외여행에 나섰던 코로나19 이전과 달리 유커의 구매력이 예전만 못할 거란 주장이다.

실제로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문화대혁명 마지막 해인 1976년 이후 46년 만에 최저인 3.0%에 그쳤다.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 폐기 이후인 올 2분기에는 성장률은 6.3%로 올라섰지만, 지난해 크게 악화됐던 2분기 성장률에 따른 기저효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최근 월가에서도 중국의 올해 경제 전망을 하향 조정 중이다. 1년 전까지만 해도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6.4%대로 전망했던 JP모건체이스는 최근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4.8%로 하향 조정했다. 바클레이즈 역시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4.5%로 내다봤고, 일본 미즈호은행도 기존 5.5%에서 5.0%로 하향 조정했다.

특히 미국과의 갈등 고조로 인한 신냉전 리스크에 따라 중국의 내수 침체가 장기화될 거란 분석도 나온다. 국내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미국과의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한 중국은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이 필요하지만,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이 요구되는 경제 상황과 부동산 부실 리스크 등에 따라 경기 부양에 소극적인 상황”이라면서 “일부 기업들의 동시다발적 채무불이행에 따른 무질서한 신용리스크 등이 촉발될 경우 재정경기 전반의 침체가 가속할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발표되는 중국의 경제지표들도 연달아 경기 둔화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7월 중국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하며 시장 추정치(4.5%)에 크게 하회했다. 여기에 최근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이 촉발한 디폴트 위기에 따라 중국 부동산 시장 전체가 긴장감에 휩싸였다.

Similar Posts